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 개신교 단체, 범죄 문제가 많은 예장과 감리회

카테고리 없음

by 대대한 2025. 1. 10. 22:21

본문

성폭행·성추행 의혹이 제기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목사 김모씨가 최근 한 교회에서 설교하고 있는 모습. 출처: 유튜브 갈무리

 

 

 


한국 개신교의 대표적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는 끊임없는 성범죄와 부패로 인해 신앙의 이름을 심각히 훼손하고 있습니다. 이들 교단은 본래 신앙과 도덕의 중심지로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자들의 범죄와 책임 회피로 인해 범죄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피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끊이지 않는 범죄, 무너진 신뢰
최근 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는 한 담임목사가 여성 신도 24명을 대상으로 그루밍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사회적 충격을 안겼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포함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성범죄로 인해 정신과 치료를 받는 이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피해자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라는 가스라이팅 아래 범죄를 당했으며, 그 중 일부는 스트레스로 인해 유산을 겪은 사례도 보고되었습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는 성폭력 사건이 이단 단체보다도 더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가해자의 70% 이상이 담임목사, 부목사, 교사 등 교회 내 지도적 위치에 있는 인물들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예장 합동 교단은 성폭력 사건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피해자는 보호받지 못하고 가해자는 제대로 된 징계를 받지 않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습니다.

교단 내부의 구조적 부패
교단 내 성범죄 문제는 구조적 부패에서 비롯됩니다. 기독교대한감리회의 김모 목사는 2021년 담임목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교단 차원의 목사 면직 등 추가적인 징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후에도 다른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이는 교단이 성범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가해자가 계속해서 활동할 수 있도록 묵인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는 성폭력 사건 47건 중 단 11건만이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재판 중이거나 불기소, 기소 유예로 처리되었습니다. 교회 내부에서 징계 요구가 있었던 사건조차 가해자가 자진 사임하거나 징계 없이 넘어간 경우가 다수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교단 내부의 책임 회피와 비공식 문화가 문제의 재발을 촉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피해자들은 두려움과 불신 속에서 침묵을 강요당하며, 가해자들은 권위를 이용해 범죄를 지속할 수 있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습니다.

이단보다 못한 교단들, 이미 청산되어야 한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각종 이단 단체들보다 더 심각한 범죄가 정통 교단이라는 알려진 주변 교회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점은 충격적입니다. 이단 단체들은 그들의 파행적인 교리로 비판받지만, 적어도 그들의 행동은 이런 대형 개신교에서만 비판의 대상이 됩니다. 반면, 예장과 감리회 같은 교단은 언론과 자본을 통해 다양하게 희석시키고 이단이라 칭하는 타 종교들을 방패 삼아 내부 범죄를 은폐하며 지속적으로 사회적 피해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들 교단이 꼬리 자르기식 대응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범죄에 연루된 지도자를 징계하기보다는 교단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사건을 은폐하거나 가해자를 다른 교회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문제를 덮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행은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새로운 피해자를 양산하고, 교단 자체를 더 깊은 부패로 이끌고 있습니다.

교회의 미래는 없다, 부패를 잘라내야 한다
이제 이들 교단은 스스로 변화를 도모하거나 신뢰를 회복할 가능성이 전무합니다. 부패의 뿌리가 깊이 박힌 구조는 이미 신앙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으며, 새로운 시작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신앙이라는 이름 아래 범죄를 묵인하고, 권위를 남용하며, 피해자를 침묵하게 만드는 구조는 즉각적으로 청산되어야 합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와 기독교대한감리회는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습니다. 신앙의 본질과 사랑, 정의를 되찾기 위해서는 이 부패한 구조를 단호히 잘라내야 합니다.